📌 부자되기 프로젝트 전체 보기 → 클릭

Life hack 꿀팁

[항공사고] 최근 비행기 추락 사고 분석 - 원인, 사망자 및 부상자 현황

어썸코리아 2025. 3. 23. 20:58

■ 2000년대 비행기 추락 사고 연도별 정리

이륙하고 있는 항공기 사진
사진출처 - Pixabay


1. 2000년 7월 25일


사고 - 에어프랑스 4590편

사고 이유 - 이륙 중 콘티넨털 항공 DC-10기가 떨어트린 파편에 의해 발생한 사고.

사망자 - 113명 (항공기 탑승자 전원 및 지상피해 포함)

부상자 - 0명



2. 2001년 9월 11일


사고 - 유나이티드 항공 175편, 아메리칸 항공 77편

사고 이유 - 테러리스트에 의한 항공기 납치 (하이재킹을 통한 자살테러)

사망자 - 2,996명 (항공기 탑승자 및 지상 피해 포함)

부상자 - 수천 명 (정확한 수치 불명)
※ Hijacking -  비행기, 자동차 등의 탈것 운전 중에 납치하거나 무선 전파 또는 통신장비를 도청하는 행위

항공보안법 제40조(항공기 납치죄 등)

① 폭행, 협박 또는 그 밖의 방법으로 항공기를 강탈하거나 그 운항을 강제한 사람은 무기 또는 7년 이상의 징역에 처한다.

② 제1항의 죄를 범하여 사람을 사상(死傷)에 이르게 한 사람은 사형 또는 무기징역에 처한다.
③ 제1항의 미수범은 처벌한다.
④ 제1항 또는 제2항의 죄를 범할 목적으로 예비 또는 음모한 사람은 5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다만, 그 목적한 죄를 실행에 옮기기 전에 자수한 사람에 대하여는 그 형을 감경하거나 면제할 수 있다.

 


▶항공보안법 바로가기

공항내에서 이륙 준비중인 항공기
사진출처 - Pixabay


3. 2000년 10월 31일

 

사고 - 싱카포르 항공 006편
발생위치 - 싱가포르에서 대만을 거쳐 로스앤젤레스로 가는 공항 활주 중 작업차량과 충돌

사고이유 - 조종사의 실수
사망자 - 83명
부상자 - 71명
생존자 - 96명

 


4. 2002년 4월 15일


사고 - 중국국제항공 129편
발생위치 - 대한민국국 경상남도 김해시 지내동 돗대산

사고 이유 - 기상 악화 및 조종사의 실수

사망자 - 130명

생존자 - 36명



5. 2003년 3월 6월


사고 - 에어알제리 6289편

발생위치 - 아게나르-하지 베이 아카목 공항에 이륙직후 트랜스 사하라 고속도로 근처 추락
사고 이유 - 이륙상승중에 엔진고장으로 기어회수 안 되는 기계적 결함

사망자 - 102명

부상자 - 0명
생존자 - 1명

 

 

6. 2009월 2월 25일


사고 - 에어버스 A320 사고 (터키항공 1951편)
발생위치 - 네델란드 수도 암스테르담의 스히폴 국제공항

사고 이유 - 착륙시도 과정에서 조종사의 실수 및 고도계 이상

사망자 - 9명

부상자 - 125명
생존자 - 126명



7. 2005년 9월 5일


사고 - 만다라 항공 091편 
발생위치 - 폴로니아 국제공항 이륙직후 인구밀집지역으로 추락

사고 이유 - 인도네시아 국내선항공편으로 기계적 결함 및 조종사의 실수

사망자 - 145명(지상사망자 포함)

생존자 - 17명



8. 2008년 8월 20일


사고 - 스페인 항공 5022편
발생위치 -  마드리드 바라하스 국제공항 활주로 옆 도랑에 추락

사고 이유 - 이륙 중 활주로 이탈

사망자 - 154명

부상자 - 18명



9. 1996년 11월 23일


사고 - 에티오피아 항공 961편
발생위치 - 공중 납치, 해상 추락

사고 이유 - 테러리스트에 의한 항공기 납치

사망자 - 125명

부상자 - 46명
생존자 - 50명



10. 2009년 6월 1일


사고 - 에어프랑스 447편

사고 이유 - 기상 악화 및 조종사의 실수

사망자 - 228명

부상자 - 0명



11. 2010년 4월 10월


사고 - 폴란드 항공 101편(폴란드대통령기 추락사고)

사고 이유 - 기상 악화 및 조종사의 판단 오류

사망자 - 96명

부상자 - 0명



2000년대의 비행기 추락 사고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였으며, 기계적 결함, 조종사의 실수, 기상 악화, 그리고 테러리즘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이러한 사고들은 항공 안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 주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교육이 필요함을 절실하게 느끼게 하고 있습니다.